인물록  cybernation_back.gif

 왕비록

 철향록

 외손 후비 세계(外孫 后妃 世系)

 충절록

 부마록

 시호록

 상신록

 효행록

 공훈록

 학행록

 청백록

 

 

외손 후비 세계(外孫 后妃 世系)  top

王妃名

王名

系譜

원경왕후

元敬王后

태종(太宗)

한사기(韓謝奇)녀송금강(宋金剛)자선(瑄)녀민제(閔霽)원경왕후

현덕왕후

顯德王后

문종(文宗)

한사기(韓謝奇)녀노승서(盧承緖)녀권정중(權正中)자권백종(權伯宗)자권전(權專)현덕왕후

정희왕후

貞熹王后

세조(世祖)

한악(韓渥)녀권항(權恒)녀윤승례(尹承禮)자윤번(尹璠)정희왕후

정현왕후

貞顯王后

성종(成宗)

한상질(韓尙質)녀윤곤(尹坤)자윤삼산(尹三山)자윤호(尹壕)정현왕후

단경왕후

端敬王后

중종(中宗)

한충인(韓忠仁)녀신수근(愼守勤)단경왕후

장경왕후

章敬王后

중종(中宗)

한악(韓渥)녀권항(權恒)녀윤승례(尹承禮)자윤번(尹璠)자사윤(士)자보(甫)자여필(汝弼)
장경왕후

문정왕후

文定王后

중종(中宗)

한악(韓渥)녀권항(權恒)녀윤승례(尹承禮)자윤번(尹璠)자사윤(士)자계겸(繼謙)자욱()자
지임(之任)문정왕후

인성왕후

仁聖王后

인조(仁祖)

한악(韓渥)녀홍주(洪澍)자징(懲)녀성부(成溥)자효원(孝源)녀박치(朴輜)자용(墉)인성왕후

인순왕후

仁順王后

명종(明宗)

한대순(韓大淳)녀정추(鄭樞)자증(拯)녀신경종(申敬宗)자수복(守福)자영석(永碩)녀
심순문(沈順門)자연원(連源)자강(鋼)인순왕후

의인왕후

懿仁王后

선조(宣祖)

한절(韓)녀홍사부(洪士俯)녀박소(朴紹)자 응순(應順)의인왕후

인목왕후

仁穆王后

선조(宣祖)

한용(韓墉)녀노게(盧)녀김제남(金悌男)인목왕후

인헌왕후

仁獻王后

원종(元宗)

한확(韓確)녀계양군증(桂陽君)자부림군식(富林君湜)녀 신상(申)자화국(華國)녀
구사맹(具思孟)인헌왕후

인선왕후

仁宣王后

효종(孝宗)

한서봉(韓瑞鳳)녀허종(許琮)자확(確)자흡(洽)녀장임중(張任重)자일(逸)자운익(雲翼)자
유(維)인선왕후

명성왕후

明聖王后

현종(顯宗)

한계희(韓繼禧)녀이영희(李永僖)녀이수오(李秀塢)녀윤상(尹商)녀김덕수(金德秀)자비()자
흥우( 興宇)자육(堉)자우명(佑明)명성왕후

인경왕후

仁敬王后

숙종(肅宗)

한유량(韓有良)녀김만기(金萬基)인경왕후

인현왕후

仁顯王后

숙종(肅宗)

한절(韓)녀홍사부(洪士俯)자정(靜)자익현(翼賢)녀민기(閔機)자광훈(光勳)자유중(維重)
인현왕후

숙종(肅宗)

한관()녀김명원(金命元)자수렴(守廉)자남중(南重)자일진(一振)자주신(柱臣)

단의왕후

端懿王后

경종(景宗)

한진(韓縝)녀박빈(朴)녀심호(沈浩)단의왕후

 

부마록(駙馬錄)  top

한기(韓紀) : 字는 원방(元方), 문양공 계미의 증손이며 형조판서 형윤의 아들이다.  성종21년(1490) 출생하여 성종(成宗)의 제10녀인 정혜옹주(靜惠翁主)에게 장가들어 청평위(淸平尉)에 봉해짐.

한경록(韓景祿) : 字는 중수(仲공안공 치인의 현손이며 춘천부사 승권의 아들이다. 중종15년(1520) 출생하여 중종(中宗)의 제2녀인 의혜공주(懿惠公主)를 취처하여 청원위(淸原尉)에 봉해졌다.

한경침(韓景琛) : 양호공(襄胡公) 보(堡)의 3남으로  성종(成宗)녀인 공신옹주(恭愼翁主)와 혼인하여 청령위(淸寧尉)에 봉해짐. 연산군 甲子(1504)에 옹주가 早寡 되어 아산에 유배되니 신주를 모시고 조석으로 곡을 그치지 않았다. 중중조에 정려되었다.

한 경우(韓景祐) : 장간공(莊簡公) 치레(致禮)의 현손이고 서평군(西平君) 숙창(叔昌)의 손자이다. 정신옹주(愼翁主)와 혼인하여 청천위(淸川尉)에 봉해졌다.

 

상신록 (相臣錄)  top

한악(韓渥) : 고려 충숙왕 己卯(1339,) 우정승(右政丞)에 배명되고 시호는 사숙(思肅) 충열왕의 사당(廟廷)에 배향되었다.

한상경(韓尙敬) : 사숙공(思肅公)의 증손으로 태종15년(1415) 우의정에 제수되고 다음해 영의정에 오름. 시호는 문간(文簡)

한확(韓確) : 사숙공(思肅公)의 현손으로 단종원년(1453) 우의정으로 정난공신에 책록되고 세조2년(1457) 좌의정에 올라 좌익공신을 가함. 시호는 양절(襄節)이며 세조묘정에 배향되었다

한명회(韓明澮) : 사숙공의 5대손 세조8년(1462) 우의정이 되고 계미년(1463)에 좌의정, 세조12년(1466) 영의정,  기축년에 다시 영의정에 배명되었으며 시호는 충성(忠成), 세조묘정에 배향되었다.

한백륜(韓伯倫) : 사숙공5대손, 성종6년(1475) 우의정에 오르고 시호는 양혜(襄惠)이다.

한치형(韓致亨) : 사숙공5대손, 성종2년(1471) 영의정에 올라 좌리공신에 책록되었다. 시호는 질경(質景)이다.

한효원(韓效元) : 사숙공7대손, 중종26년(1531) 우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장성(章成)이다.

한효순(韓孝純) : 사숙공9대손으로 광해군13년(1621) 좌의정을 지냈다. 시호는 장헌(莊獻)이다.

한응인(韓應寅) : 양절공6대손으로 선조40년(1607)  우의정에 오르고 광국평난공신에 책록되었다. 시호는 충정(忠靖)

한흥일(韓興一) : 문정공6대손이며 구암 백겸의 아들이다. 효종2년(1651) 우의정에 오르고 시호는 정온(靖溫)이다.

한익모(韓翼) : 양절공의 12대손으로 영조42년(1766) 우의정에 오르고 동48년(1772) 영의정으로 승진하였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한용구(韓用龜) : 양절공의 14대손으로 순조원년(1801) 우의정에, 동21년(1821)에는 영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익정(翼貞)이다.

한계원(韓啓源) : 문정공14대손이며 字는 공우(公祐) 고종19년(1882) 우의정에 올랐다.

한규설(韓圭卨) : 사숙공의 20대손으로 참정대신에 올라 1905년 을사보호조약에 반대 일제의 압력으로 파면되었다. 일제의 봉작을 거부 1920년 이상재(李商在) 등과 함께 조선교육회를 창립하였다

 

功勳錄(공훈록)     top

 

한란(韓蘭) : 고려태조를 도와 삼한통합지훈을 이루고 개국, 벽상공신에 책훈, 관직은 삼중대광문하태위에 이르고 시호는 위양(威襄)이다.

한후저(韓候抵) : 고려때 태재(太宰)의 공에 따라 평산백에 봉해졌다.일설에는 검교예빈경과 태자첨사를 지낸 것으로 전해짐.

한악(韓渥) : 제학공 사기의 아들로 고려충숙왕14년에 선력좌리공신상당부원군책훈되고 철권을 받았으며 벽상공신에 오름. 시호는 사숙(思肅)이다.

한희유(韓希愈) : 고려 충열왕29년(1303) 벽상삼한삼중대광 추성분의찬리공신 광정대부도첨의우중찬 상호군 판전리사사에 제수. 시호는 장열(莊烈)이다.

한대(韓大淳) : 사숙공 장남 고려충정왕3년(1351)지도첨의사사 추충협찬공신 광정대부에 오름.

한공의(韓公義) : 고려 충정왕조에 관작은 중대광에 이르고 보조공신 호부상서로 청성군에 봉해짐. 시호는 평간(平簡)이다.

한방신(韓方信) : 공민왕11년(1362) 홍건적을 토벌 평정하고 수도를 수복하는 공으로 제일등수충병의협찬공신에 책훈되고 삼중대광 첨의부찬성사 정당문학 수문전태학사 감춘추관사를 역임하였다.

한수(韓脩) : 우왕4년 상당군에 봉군되고  관직은 대제학으로 수충찬화공신에 책훈되었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한리(韓理) : 평간공의 2남으로 고려 공민왕조에 등과하였다. 보리공신(輔理功臣)에 책훈되어 첨의평리 지밀직사사에 이르고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한상경(韓尙敬) : 문경공의 3남으로 조선태조개국에 함께하여 보새를 태조에게 헌책하는 등의 공으로 개국공신에 책훈되고 관직은 영의정에 이르렀으며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에 봉해지고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한확(韓確) : 字는 자유(子柔), 순창군사 영정의 장남이며 서원군 방신(方信)의 증손이다. 정종2년(1400)에 출생, 단종2년(1453)에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輸忠衛社協贊靖難功臣)에 책훈되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우의정겸 영경연사, 서성부원군이 되었다. 세조원년 좌의정에 오르고 동덕좌익공신(同德佐翼功臣,)에 책훈되어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으로 개봉되었으며 시호는 양절(襄節)이다. 대제학 어세겸(魚世謙)이 지은 신도비가 있다.

한명회(韓明澮) : 字는 자준(子濬),  감찰 기의 장남이며 문열공 상질(尙質)의 손자이다. 세조원년(1456) 좌익공신( 佐翊功臣)으로 책훈되고 동14년 영의정에 오르고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성종2년에는 좌리공신(佐理功臣)4등에 책훈되었으며 예종,성종 양위의 국구(國舅)로 세조로부터 삼대에 거쳐 조정에 봉직하였다. 시호는 충성(忠成)이다.

한명진(韓明) :  字는 영숙(盈叔),  충성공의 아우이다. 세조조에 추충정난공신(推忠靖難功臣)에 책훈되고 전구서(典廐署) 승(丞)을 지내고 병조판서에 증직, 서원군에 봉군되었으며 시호는 이양(夷襄)이다.

한계미(韓繼美) : 字는 공보(公甫),  관찰사 혜(惠)의 차남이며, 문간공 상경(尙敬) 손자이다, 세조13년(1467) 이시애의 반란을 토벌 평정하였으며 좌우찬성(左右贊成)에 올랐다. 아우들인 계희(繼禧),계순(繼純)과 함께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훈되었고, 철권(鐵券)을 하사받았다. 시호는 문양(文襄)이며 김수온(金守溫)이 지은 신도비가 있다.

한계희(韓繼禧) : 세조13년(1468), 익대공신(翊戴功臣) 辛卯(1471)에는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훈되고, 영의정에 증직되었으며,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도덕(道德)과 문장(文章)으로 일세(一世)에 견줄이가 없었다.

한계순(韓繼純) : 字는 수옹(粹翁), 문정공 계희(繼禧)의 아우이다. 세조즉위 때에는 순충좌리(純忠佐理)공신으로 책훈되고 우승지로 남이(南怡)사건에 공을 세워 수충보사정난익대공신(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에 책록되고  철권(鐵券)을 하사받았다. 시호는 양평(襄平), 김유(金紐)가 지은 신도비가 있다.

한백륜(韓伯倫) : 字는 자후(子厚), 감사 창(昌)의 장남으로 서원군 방신(方信)의 현손이다, 안순왕후의 아버지로 국구가 되고, 좌리공신(佐理功臣)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에 봉해졌으며 벼슬은 우의정에 이르고, 시호는 양혜(襄惠)이다.

한종손(韓終孫) : 중추공(中樞公) 서룡(瑞龍)의 아들이며 충간공 리(理)의 증손이다, 세종29년(1447) 무과에 올라, 사:추충좌익공신(推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벼슬은 병조판서에 이르고, 청성군(淸城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안양(安襄)이다.

한치인(韓致仁) : 양절공 확(確)의 장남이다, 성종2년(1471) 좌리공신(佐理功臣) 에 책훈되고 숭정대부 판돈령(判敦寧)에 올라 서성군(西城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공안(恭安)이다.

한치의(韓致義) : 字는 의지(誼之), 양절공 확의 차남이다, 성종2년(1471) 이조참판겸 성절사(聖節使)로 좌리공신(佐理功臣)에 훈록되었다, 임진년에는 병조판서에 오르고, 시호는 장도(章悼)이다.

한치레(韓致禮) : 字는 자절(子節), 양절공 확의 3남으로, 무과에 올라 보국영돈령(輔國領敦寧)에 이르고, 서릉부원군(西陵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성종2년(1471)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훈되고, 시호는 장간(莊簡)이다, 어세겸(魚世謙)이 지은 비문과 홍귀달(洪貴達)이 지은 신도비가 있다.

한치형(韓致亨) : 字는 통지(通之), 정랑공 질() 2남으로 관직은 영의정에 이름. 성종2년(1471)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질경(質景)이다.    

한사문(韓斯文) : 字는 자예(子藝), 문정공 계희의 장남이다. 공조판서를 지내고 정국(靖國)공신에 책훈되었으며 서천군(西川君)에 봉군되고, 시호는 공간(恭簡)이다.

한보(韓堡) : 字는 장보(障甫), 충성공 명회의 장남이다, 성종조 기축에 순성좌리(純誠佐理)공신에 서훈되었으며 랑성군(琅城君)에 봉군되고 시호는 양호(襄胡)이다, 모제문은 김안국(金安國)이 찬하였다.

한의(韓) : 문양공 계미의 장남으로 세조4년(1459) 17세의 나이로 출사하여 순성좌리(純誠佐理)공신에 녹훈되고  서양군(西陽君)에 봉해졌으며 공,형,병참판을 거쳐 자헌(資憲)대부에 이르고 시호는 공도(:恭悼)이다.

한세창(韓世昌) : 字는 희백(熙伯), 군기시 판관 익장(翊長)의 아들이고 장간공 치레(致禮)의 손자이다, 음관으로 중추부 첨지사에 이르고 분의정국(奮義靖國)공신에 녹훈되었다. 자헌대부로 호조판서를 지냈으며  청원군(淸原君)에 봉군되었다.

한숙창(韓叔昌) : 字는 희경(熙卿), 청원군 세창(世昌)의 아우이다. 자헌대부(資憲大夫) 공조판서(工曹判書)에 이르고  분의정국(奮義靖國)에 녹훈되었으며 서평군(西平君)에 봉군되었다.

한순(韓恂) : 字는 돈부(敦夫), 양혜공 백륜(伯倫)의 4남으로 병충분의정국공신(秉忠奮義靖國功臣)에 녹훈되었다. 서원군(西原君)에 봉군되고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한준(韓準) : 字는 공칙(公則), 돈령부정 수경(守慶)장남, 중종38년(1542) 의주부윤으로 국력을 충실히 하고 정여립모역사건을 평정하여 추충분의협책평난공신(推忠奮義協策平難功臣)이 되고 청천군(淸川君)에 봉군되었다. 미수 허목(許穆)이 지은 신도비가 있다.

한응인(韓應寅) : 字는 춘경(春卿), 사직 경남(敬男)의 장남이고, 공안공 치인(致仁)의 5대손이다, 명종9년(1554)에 출생, 신천(信川)고을의 수령일 때 이축(李軸),박충간(朴忠侃)과 함께 명을 받고 정여립모역사건의 적도를 잡아 광국평난(光國平難)공신에 책훈되고, 우의정에 이르렀으며  청평부원군(淸平府院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충정(忠靖)이고 월사 이정구(李廷龜)가 지은 행장이 있다.

한교(韓嶠) : 字는 사앙(士昻), 충성공 명회(明澮)의 6대손이다. 인조원년(1623) 여복(汝復)과 함께 정난(靖難)에 참여하여 공을 세우고 호조판서에 증직되고,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다.

한여복(韓汝復) : 字는 사초(士初), 충성공의 후손으로, 김류,이귀 등과 대의를 따라 의거하여, 인조즉위의 정사지훈(靖社之勳)을 세우고, 서성군(西城君)에 봉해졌다.

한충(韓忠) : 字는 서경(恕卿) 號는 송재(松齋) , 주부(主簿) 창유(昌愈)의 장남으로, 중종8년(1513) 별시문과에 장원, 동26년(1531)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1등에 록훈되고  가선대부 이조참판에 올랐다. 유고(遺稿)가 전하여지며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선생이 지은 행장이 있다.

한응남(韓應男) : 字는 경유(景裕), 병조참판 두(斗)의 아들이다. 선조5년(1572) 과거에 급제하여 서흥부사를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1등에 록훈되었다.

한광윤(韓光胤) ; 중종32년(1537) 출생 임진란에 동병하여 양수4반(糧受4班)의 공으로 록훈되고 중추부 첨지사를 지냄.

한연(韓淵) ; 字는 계정(季靜), 삼덕(參德(의 아들이고 송재(松齋) 한충(韓忠)의 손자이다. 임진란 시 선전관(宣傳官)으로 수가(隨駕)대열을 끝까지 지켜, 왕이 이르기를 여신유일(予臣惟一)이라 하였으며, 한연(韓淵)이 병사(病死)하니 왕의 특명으로 예장(禮葬)하게하고 충근효절익량협책호종공신(忠勤效節翊亮協策扈從功臣)을 증(贈)하고 청계군(淸溪君)에 봉(封)하였다.

한숙(韓淑) : 字는 선수(善), 참의 전()의 후손, 경신(庚申) 출생.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한준성(韓俊星) : 덕윤(德胤)의 아들이며 무과에 올라 갑자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한순진(韓順進) : 인상(仁祥)의 아들, 우림장군(羽林將軍)을 지내고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었다.

한경종(韓慶宗) ; 두(斗)의 장남이며 호가원종공신(扈駕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한종두(韓宗斗) : 무신년(1548)에 출생,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한종필(韓宗弼) : 원(院)의 아들이며 종두(宗斗)의 아우로, 미관첨사(彌串僉使)를 지내고 임진란에 호가공신(扈駕功臣)에  책록되었다.

한세정(韓世禎) : 기(璣)의 아들, 선조26년(1593)무과에 올라, 호가원종공신( 扈駕原從功臣)에 책훈됨.

한종립(韓宗立) : 종두의 아우, 개령현감(開寧縣監), 임진란 때 형 종두와 함께 훈1등(勳1等)으로 책훈됨.

한순(韓楯) : 字는 사한(士閑), 극심(克諶)의 장남으로 평양판관(判官)으로 임진란에 순절(殉節)함.

한기(韓紀) : 문양공 계미(繼美) 증손. 정혜옹주와 혼인하여 청평위(淸平尉)가 됨. 명종조에 원종1등공신(原從1等功臣)에 록훈됨.

한가견(韓可堅) : 字는 자국(子國). 헌납(獻納), 겸(兼)의 아들,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록훈됨.

한응린(韓應麟) : 字는 이서(而瑞), 무과로 주부(主簿)를 지냄, 임진란 때 종금면무계(從金沔武溪) 등의 공적이 많음.

한응기(韓應箕) : 字는 사설(士說), 명종5년(1550)출생, 임진란 시 호가공신(扈駕功臣)에 책훈됨.

한서(韓瑞) : 字는 정옥(廷玉), 효간(孝幹)의 아들, 임진란에 창의유훈(倡義有勳)으로 원종공신 3등(原從3等)에 책훈됨.

한백록(韓百祿) : 字는 수지(綏之), 굉()의 장남, 임진년에 지세보만호(知世輔萬戶)로 난이 일어나자 금산첨사(金山僉使)로 특별승진(特陞)하였고 미조항(彌助項)에서 순절하였다. 병조판서에 증직되고 훈2등에 서훈되었다. 영조 신묘에 왕명으로 정려되었다.

한세관(韓世寬) : 첨사 순손(順孫)의 아들이다.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으로 책훈되었다.

한부윤(韓富允) : 아버지는 홍필(弘弼), 부장원종공신(部將原從功臣)

한영혁(韓永赫) : 아버지는 태유(泰愈), 보사원종공신(保社原從功臣)으로 책훈되었다.

한진영(韓震英) : 字는 정지(挺之), 광해14년(1622) 금부도사에 올라 1623년 반정에 참가하고, 인조2년(1624)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공주에 호종 정사원종공신(靖社原從功臣)에 책훈되고 철권을 하사받았다.

한몽룡(韓夢龍) : 字는 경서(卿瑞), 양혜공 백륜(伯倫)의 9대손, 인조2년(1624) 이괄의 난에 전 사옹원 직장으로 공주에 호종, 영상이원익이 아뢰어 원종공신(原從功臣)을 하사()받았다.

한귀복(韓貴福) : 장도공(章悼公) 치의(致義) 6대손이며 인조2년(1624) 이괄의 난에 공을 세워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으로 포상되고 록권(錄券)을 하사받았으며, 자헌대부에 올랐다.

 

淸白錄(청백록)     top

한계희(韓繼禧) : 서거정(徐居正)이 지은 비문에서 말하기를  "공무를 집행하는데 공정하고 사사로움이 없으며 스스로 청백을 마음에 새겨 지켰으며 집에서는 생활이 검약하며 자신을 위해 남의 힘을 빌지 않고 자신을 낮추어 처신하고 귀로는 풍악을 듣지 않고, 눈으로는 단장한 여인을 보지 않으며 실내에는 책만 있어 깨끗하였다.(居官履一事奉公守正淸白自持居家儉約自奉卑簿耳不聽絲竹目不視粉黛圖書一書室淡如也)" 라고 하였다.

한충인(韓忠仁) : 호조참의 전()의 장남, 무과에 급제 가선대부에 이르고 전라수사(全羅水使)를 거쳐, 전라병마절도사로 이시애의 난에 출정하여 공을 세웠으며, 자헌대부 이조판서에 증직되고 청백록에 올랐다(錄於淸白).

한형윤(韓亨允) : 字는 신경(信卿), 절(岊)의 장남이고 문양공(文襄公) 계미(繼美)의 손자이다. 벼슬이 형조판서(刑曹判書)에 이르고 조정에서 그의 청백을 기록하여 음덕이 자손에 미쳤다(朝廷錄其淸白蔭及子孫). 시호는효헌 (孝憲)이다.

한태동(韓泰東) : 字는 노섬(魯贍), 호(號)는 시와(是窩)이다. 장령 진(縝)의 아들이고, 참의공 전의 9세손이다, 인조24년(1646)출생, 현종10년(1669) 정시문과에 장원, 관직은 집의와 사간 등을 역임 하였다.숙종13년(1687) 졸하니 향년이 42였다. 공의 청백강직한 절조를 포상하여 부인 죽산안씨에게 매월 녹봉을 하사하고, 이조참판을 증직하였다.

한덕필(韓德弼) : 字는 상지(相之), 한태동(韓泰東)의 손자이다. 숙종22년(1696) 출생, 여러 고을을 거치면서 청백(淸白)하게 법을 집행하였다.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지냈다.

한오장(韓五章) : 안양공(安襄公) 종손(終孫)의 8대손이고, 우의정 효원(效元)의 6대손이다. 현종13년(1672) 출생, 기유(1729) 문과에 급제하여, 함평현감을 지냈다. 청백함으로 널리 알려 졌으며(以淸白著世), 1996년 전북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에 후손들이 "함평현감한공휘오장유허비"를 세웠다.

한희적(韓希迪) : 고려 평산백(平山伯) 후저(侯抵)의 후손으로, 중현대부(中顯大夫) 예의판서(禮儀判書)를 지냈으며, 청백리의(淸白吏依)로 4교 기유보(1796,)에 기록하였다.

한가구(韓可久) : 고려 전법판서(典法判書) 철충(哲沖)의 손자이다. 강릉부사를 지냈으며 청백한 관리로 생사거사비(生祠去思碑)가 강릉에 있다.

한승정(韓承貞) : 字는 성지(成之), 문정공 계희(繼禧)의 손자이다. 중종10년(1515) 문과에 올라 예조참의, 대사간을 지냈다. 죽음에 이르러 장사를 지낼 때 그 간구함을 보고(及卒貧無以葬) 이희보(李希輔)가 시를 지어 곡하기를 “죽음에 이르러 남겨진 의복조차 없고, 전할 것은 경서만이 유일하구나(覆尸無餘服傳家有一經).”라고 하였다.

한기(韓琦) : 이조정랑 서봉(瑞鳳)의 6대손이며, 여러곳에 청백함을 기록한 비가 있다(到處淸白皆有碑). 진산의 수령일때(焉守珍山時) 완백포이청백(完伯褒以淸白)이라 경계하는 글을 자녀에게 남겼다.(有戒子女書)

한충(韓忠) : 호(號)는 송재(松齋), 고려 정당문학(政堂文學) 공연(公衍)의 후손이다. 유사에 "공의 사후 책 몇 권만 남았고 치장함이 전혀 없었으며(公之行裝只有圖書數軸而己哀忌). 그 청백함이 여러 차례 홍전(紅氈)과 같이 드러났다(其淸白累以紅氈). 공이 묘당에 몸을 던져 종사를 잇게 한 부지런함과 아름다운 공로로(公投諸江中廟嘉其爲勤宗系之功)으로 특별히 전15결을 내려 포상하였다(特加褒秩賜田15結)."라고 하였다. 연기의 봉암(鳳岩), 청주의 신항(莘巷)서원에서 제사를 드린다.

한익상(韓益相) : 삼척부사불망비에 기록하기를, "旣停魚貢又獨還錢軍海但安萬姓銘心又云東伯" 이라 하였다.

 

腏享錄(철향록)       top

한수(韓脩) : 號는 유항(柳巷), 개성(松京)의 풍양(豊壤) 송산(松山) 장단(長湍)의 봉산서원(鳳山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충(韓忠) : 號는 송재(松齋), 연기(燕岐)의 봉암(鳳岩), 청주(淸州)의 신항서원(莘巷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백겸(韓百謙) : 號는 구암(久菴), 원주(原州)의 칠봉(七峰) 춘천(春川)의 문암서원(文岩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백유(韓百愈) : 號는 오천(鰲川), 용계서원(龍溪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일휴(韓日休) : 號는 월포(月浦), 청주(淸州)의 검암서원(儉岩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필성(韓必聖) : 號는 만회당(晩晦堂), 임실(任實)의 신안서원(新安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산두(韓山斗) : 號는 추월당(秋月堂), 풍기(豊基)의 노계서원(魯溪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순(韓) : 號는 의장(毅壯), 금산(錦山)의 종용사(從容祠)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시호(諡號)는 충민(忠敏)이다.

한온(韓蘊) : 장흥(長興)의 충렬사(忠烈祠)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시호(諡號)는 충의(忠毅)이다.

한원진(韓元震) : 號는 남당(南塘), 인천(仁川),행주(幸州),예산(禮山),집성(集成) 성주(星州)의 무계서원(武溪書院)에서 享禮를 올린다. 

한겸(韓謙) : 관직은 부사(府使)를 지냈다. 의열사(義烈祠)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종유(韓宗愈) : 장군(將軍)이다. 자인(慈仁)에 있는 사당(祠堂)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몽삼(韓夢參) : 號는 조은(釣隱), 임천서원(臨川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우신(韓禹臣) : 號는 정안(靜安), 순안(順安)의 성산서원(星山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호운(韓浩運) : 병조판서를 지냈다. 정주(定州)의 표절사(表節祠)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양오(韓養吾) : 號는 반환정(盤桓亭), 남원(南原)의 고암서원(高岩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호겸(韓好謙) : 號는 신재(新齋), 임실(任實)의 신안서원(新安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철충(韓哲沖) : 號는 몽계(夢溪), 합천(陜川)의 면암서원(冕岩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석필(韓碩弼) : 號는 조암(), 합천(陜川)의 회산서원(會山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호성(韓好誠) : 관직은 승지(承旨)를 지냈다. 구례(求禮)의 남전사(藍田祠)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한명유(韓鳴愈) : 號는 홍운정(鴻雲亭), 임실(任實)의 신안서원(新安書院)에서 제사(享禮)를 올린다.

 

忠節錄(충절록)      top

 

한공의(韓公義) : 고려 충정왕이 손위(遜位)하던 날 백마산(白馬山) 아래로 달려가 음식물을 바치고 말하기를 "임금과 신하는 모름지기 시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라고 말하였다. 그 충절을 공민왕이 알고 즉시 산기상시에 배명하고 다시  호부상서를 제수하였다. 그때 사람들이 모두 그 충절을 기렸다. 공은 자상하고 근검하였고 예법에 따라 행동하였으며 시호(諡號)는 평간(平簡)이다.

한천(韓蕆) : 號는 서재(恕齋) 대순(大淳)의 아들로 사숙공의 장손이다. 고려조에 등과하여 벼슬은 예문관(藝文館) 대제학(大提學)을 지냈다. 조선 태조 원년 새 왕조에 동참하지 않아 유배되었다.

한리(韓理) : 평간공(平簡公)의 차자(次子)로 고려에 등과하여 벼슬이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이르렀으나 조선개국 혁명에 참여를 거부하여 계림부윤으로 좌천 이 후 돌아가셨으며,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이때 우성범(禹成範)과 강준(姜準)은 혁명에 반대하여 함께 참하고 공은 폄하하여 좌천하고 종형인 서재공은 유배하였으니 이는 조카인 개국원훈 문간공의 힘 입은 바이다. 공은 훗날 문간공의 중부로 특별히 은전을 입어 공의 절의를 기려 시호를 내렸다.

한철충(韓哲沖) : 號는 몽계(夢溪)  청백리(淸白吏) 희적(希迪)의 아들이다. 고려의 국운이 다함에 신하로서 두왕조 섬기기를 거부하고 상주로 은거하였다.

한온(韓蘊) : 명종10년(嘉靖乙卯=1555) 장흥부사(長興府使)로 재임중 달량포(達梁浦)에서 병사(兵使) 원적(元積)과 함께 왜적을 막아 싸우던중 원적은 항복하고 공 홀로 싸우던중 순절(殉節)하였다. 율곡선생이 공의 족적을 찬술하여 전한다.

한순(韓楯) : 명종10년(1555)생 평양판관(平壤判官)으로 봉직중 임진왜란에 순절(殉節)하였다. 효종조에 병조참판을 추중하고 숙종조에 병조판서 서성군(西城君)을 증작하였고 의장(毅壯)이란 시호를 내렸으며, 현종조에 정려(旌閭)를 내려 공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한백록(韓百祿) : 임진왜란 시 미조항(彌助項)에서 순절하였다. 병조판서에 증직되고 정려(旌閭)되었다.

한명윤(韓明胤) : 상주목사(尙州牧使)로 재직 시 선조26년 癸巳(1593) 왜적을 맞아 방어 중 순절하였다.

한응성(韓應聖) : 字는 경명(景期) 호군(護軍) 축의 5男으로 임진(1592)년에 조헌선생과 함께 의병 활동 중 금산에서 순절하였다.

한덕봉(韓德鳳) : 세걸(世傑)의 아들이다. 수문장으로 임진년 왜란시 전사하였다.

한언항(韓彦恆) : 선(璿)의 차남이며 임진란에 왜적에게 굴하지 않고 사망하였다.

한일휴(韓日休) : 字는 경일(敬逸) 號는 월포(月浦) 임진왜란에 의주부의 용만(龍灣)에 까지 왕을 호가(扈駕)하였다. 순조 계해(癸亥=1803)에 집의(執義)가 증직되었다.

한겸(韓謙) : 字는 희맹(希孟), 전직 부사(前府使)로 임진년 왜란에 전망(戰亡)하였다.

한종유(韓宗愈) : 임진란 중에 자인(慈仁) 도천산(道天山) 아래 버들못(柳池)에서 왜병과 조우, 이를 참한뒤 적의 대병이 당도하여 힘써 싸우다 순절하니 이날이 5월5일이다. 매년 이날이 되면 저수지의 물이 붉은 빛으로 변하여(池水必赤) 지금까지 어제일처럼 전하여진다.

한진영(韓震英) : 한일휴(韓日休)의 손자, 인조반정(癸亥改玉=1623) 후 별제(別提)로 배명되었으나 신하로서 폐군을 하였다 하여 끝내 취임하지 않았다. 인조5년(1627) 정묘호란 때 세자를 전주에 호종하고 1636년 병자호란 으로 달려가 죽기를 바랐으나 죽산에 이르러 항복한 소식을 듣고 성 아래에서 통곡하고 돌아 갔다. 연평(延平) 이귀(李貴)는 글에 쓰기를 “惟君出處不下於伊呂無愧於夷齊”라 하였다.

한산두(韓山斗) : 號는 추월당(秋月堂), 정유왜란 때 화왕산(火旺山)에서 척화(斥和)하기를 청하는 만언소(萬言疏)를 올렸다.

한필적(韓必迪) : 號는 청절(淸節) 정묘호란(丁卯胡亂) 때는 강화도(江都)에 호가(扈駕)하고 병자정묘란 이후 폐거자정(廢擧自靖)하였다.

한유혁(韓惟赫) : 관(瓘)의 아들,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오르지 않은 출신(出身)으로 병자호란을 맞아 사망(戰亡)하였다.

한남수(韓南秀) : 팽년(彭年)의 아들이고 양혜공(襄惠公)의 후손이다. 中武科旋遭內艱虜墓泣血人名其洞曰孝子洞及當壬辰之難 上特命捍守南門蓋以公忠勇氣節素著故也與牛山安邦俊倡義赴難前後事蹟俱載於牛山日記及野史邑誌節義錄嘗有詩曰承家舊業靑氈虛報 國初心白髮短

한종임(韓宗任) : 고부공(古阜公)의 10대손이고 진사 응창(應昌)의 아들이며 字는 이원(而遠)이다. 병자호란의 창의부장(倡義剖將)의 공로로 절의록(節義錄)에 올랐다.

한득홍(韓得弘) : 고부공(古阜公)의 10대손이고 남식(南式)의 아들이며 字는 대지(大之)이다. 창의선록(倡義旋錄)과 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에 올랐다.

한영발(韓英發) : 字는 자정(子挺)이고 준발(駿發)의 아우이다. 有行誼丙子亂與兄下鄕許滄海格贈詩曰朋友猶今日乾坤異昔時以敎官入大臣薦終不仕焉

훈(韓訓) : 는 사고(師古)이고 호는 죽총(竹총)이다. 청백리(淸白吏) 충인(忠仁)의 아들이요, 참의공 전()의 손자이다. 수찬으로 재직 시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고 갑자사화에 연루 스스로 나아가 화(禍)를 당하였다. 돌아가신 뒤인 1505년 도승지(都承旨)에 추증(追贈) 되었다.

한여해(韓如海) : 병자년 항복 후 왕의 부름에도 응하지 않고 은거하여 학문에만 전념 하였으며 오랑캐가 있는 서쪽을 바라보고 앉지도 않았다.(丙子媾成不就徵辟隱居講道矜式一世坐不西向)

 

諡號錄(시호록)   top

 

시호

시대

관작

시호

시대

관작

란(蘭)

위양(威襄)

고려

문하태위(初諡威烈)

사문(斯文)

공간(恭簡)

조선

공조판서

경(卿)

경민(景敏)

고려

영문하부사

세환(世桓)

공간(恭簡)

조선

이조판서

유충(惟忠)

경열(敬烈)

고려

태자태보

의(㠖=山義)

공도(恭悼)

조선

병조참판

수(脩)

문경(文敬)

고려

우문관대제학

규(珪)

공무(恭武)

조선

언성군

안인(安仁)

문열(文烈)

고려

평장사

치인(致仁)

공안(恭安)

조선

판돈령부사

종유(宗愈)

문절(文節)

고려

좌정승

위(偉)

공평(恭平)

조선

감사

교(皦)

문충(文忠)

고려

직제학

상경(尙敬)

문간(文簡)

조선

영의정

강(康)

문혜(文惠)

고려

태학사

장석(章錫)

문간(文簡)

조선

대제학

악(渥)

사숙(思肅)

고려

우정승

상질(尙質)

문열(文烈)

조선

대제학

희유(希愈)

장열(莊烈)

고려

판전리사사

협(恊)

문목(文穆)

조선

증제학

광연(光衍)

정간(貞簡)

고려

태학사

익모(翼謩)

문숙(文肅)

조선

영의정

언공(彦恭)

정신(貞信)

고려

태사

원진(元震)

문순(文純)

조선

증이조판서

문준(文俊)

정의(貞懿)

고려

평장사

계미(繼美)

문양(文襄)

조선

영중추부사

영(泳)

정혜(正惠)

고려

고양후

준겸(浚謙)

문익(文翼)

조선

이조판서

리(理)

충간(忠簡)

고려

이부상서

충(忠)

문정(文貞)

조선

증이조판서

공의(公義)

평간(平簡)

고려

호부상서

계희(繼禧)

문정(文靖)

조선

좌찬성

 

 

 

 

종손(終孫)

안양(安襄)

조선

병조참판

 

 

 

 

교(嬌)

양무(襄武)

조선

서원군

 

 

 

 

서구(瑞龜)

양이(襄夷)

조선

청원군

 

 

 

 

확(確)

양절(襄節)

조선

좌의정

 

 

 

 

일(釰)

양정(良靖)

조선

우정승

 

 

 

 

창수(昌壽)

양정(良靖)

조선

판돈령부사

 

 

 

 

계순(繼純)

양평(襄平)

조선

이조판서

 

 

 

 

순(恂)

양평(襄平)

조선

지돈령부사

 

 

 

 

백륜(伯倫)

양혜(襄惠)

조선

우의정

 

 

 

 

여복(汝復)

양혜(襄惠)

조선

서성군

 

 

 

 

여급(汝汲)

양혜(襄惠)

조선

증호조판서

 

 

 

 

보(堡)

양호(襄胡)

조선

랑성군(琅城君)

 

 

 

 

순(楯)

의장(毅壯)

조선

증병조판서

 

 

 

 

명진(明溍)

이양(夷襄)

조선

증병조판서

 

 

 

 

용구(用龜)

익정(翼貞)

조선

영의정

 

 

 

 

치례(致禮)

장간(莊簡)

조선

영돈령부사

 

 

 

 

치의(致義)

장도(章悼)

조선

병조판서

 

 

 

 

효원(効元)

장성(章成)

조선

우의정

 

 

 

 

효순(孝純)

장헌(莊獻)

조선

좌의정

 

 

 

 

흥일(興一)

정온(靖溫)

조선

우의정

 

 

 

 

준(準)

정익(靖翼)

조선

호조판서

 

 

 

 

용탁(用鐸)

정헌(靖獻)

조선

이조판서

 

 

 

 

사직(師直)

정혜(靖惠)

조선

판윤

 

 

 

 

치형(致亨)

질경(質景)

조선

영의정

 

 

 

 

명회(明澮)

충성(忠成)

조선

영의정

 

 

 

 

규직(圭稷)

충숙(忠肅)

조선

증좌찬성

 

 

 

 

온(蘊)

충의(忠毅)

조선

증병조판서

 

 

 

 

호운(浩運))

충의(忠毅)

조선

증예조판서

 

 

 

 

백록(百祿)

충장(忠壯)

조선

증병조판서

 

 

 

 

응인(應寅)

충정(忠靖)

조선

우의정

 

 

 

 

광조(光肇)

충정(忠貞)

조선

대사헌

 

 

 

 

융전(隆田)

호정(胡靖)

조선

지돈령부사

 

 

 

 

정교(正敎)

효정(孝貞)

조선

예조판서

 

 

 

 

형윤(亨允)

효헌(孝憲)

조선

형조판서, 청백리

 

 

 

 

 

 

 

 

 

 孝行錄(효행록)   top

한충(韓忠) : 승지에 오름, 나이 열살에 모친이 병환으로 앓케되자 곁에서 모시고 자리를 떠나지 않았다.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선생이 행장(行狀)을 지었다.

천뢰(天賚) : 생원(生員), 별제공(別提公) 극공(克恭)의 아들, 지려행의이효(砥勵行義)의 효행을 듣고  월사(月沙)선생이 비문을 지었다.(撰碣)

한인서(韓麟瑞) : 조부의 병환에 단지하여 회생하게 하여  정려(旌閭)되었다.

한이주(韓以周) : 효행으로(以孝) 정려(旌閭)되었다.  

한도제(韓道濟) : 효행으로(以孝) 급부(給復)를 받았다.

한명열(韓命烈) : 첨지(僉知)를 지냄. 효성이 지극하여 구질지년(九之年)의 부모를 봉양하고 여묘(廬墓)를 3년간 하였으며 사림(士林)에서 여러차례 정영읍(呈營邑)하였다.

한관(韓瓘) : 친병(親病)을 당하여 혈지(血指)로 회소(回甦)시키니 사람들이 세효사(世孝事)라고 칭하였다. 조정에서 이 소식을 듣고 급부(給復)하였다.  

한직(韓稷) : 효성과 우애가 두터워(孝友篤) 친상(親喪)을 당하여 죽으로 연명하고 여막에서 지냈다. 조정에서 급부(給復)하였다.  

한효삼(韓孝參) : 생원(生員). 천뢰(天賚)의 아들, 일찍이 어버이의 상을 당하여 맛있는 음식을 먹지 않았고 화려한 의복을 입지 않았다.  

한백겸(韓百謙) : 字는 명길(鳴吉),號는 구암(久菴), 1556년 출생, 광해(光海)시 양주로 물러 났다. ,물이촌학문행의위세소중,1615년졸,,柳陰長子,明宗壬子生,時退居楊州,勿移村學問行誼爲世所重,光海7年乙卯卒참의議 봉모부인신씨심효작애일당奉母夫人申氏甚孝作愛日堂  

한후유(韓後愈) : 친병자고회소십일급상읍혈거려급부親病刺股回甦十日及喪泣血居廬給復  

한여기(韓如琦) : 자백규,호정일재,군수필진자,1630년출생,유신독재김선생휘집지문,우암동춘함애중,1709년졸字伯圭,號精一齋,郡守必震子,仁祖庚午生,遊愼獨齋金先生諱集之門,尤庵同春咸愛重,肅宗己丑卒직장直長 이효 以孝 정려旌閭 도암이재찬묘표陶菴李縡撰墓表  

한여익(韓如益) : 현감縣監 호백탄號白灘 향리천효행鄕里薦孝行  

한세두(韓世斗) : 문양공팔대손文襄公八代孫 동지同知 이효以孝 수부受復  

한극대(韓克大) : 판사친병단지判事親病斷指  

한신기(韓基) : 이효以孝 누입섬천累入剡薦  

한혁(韓赫) : 참봉이효록사參奉以孝祿仕  

한준(韓峻) : 정자친상애훼경불승상후正字親喪哀毁竟不勝喪後 증수찬贈修撰  

한상신(韓尙藎) : 절충折衝 시탕십년불탈의대부상사치구치입우실질혁혈지득소칠일급상거려삼년유호래호侍湯十秊不脫衣帶父嘗思雉灸雉入于室疾革血指得甦七日及喪居廬三秊有虎來護  

한성우(韓聖佑) : 자여윤字汝尹 이조참판吏曹參判 사친지효곡진례경비유질고수유불리상왈사친자불가부지의편고제방략효기술급리거事親至孝曲盡禮敬非有疾故須臾不離嘗曰事親者不可不知醫遍考諸方略曉其術及罹巨창려묘곡배불피풍우어급선고오인읍하지로불쇠상재비장創廬墓哭拜不避風雨語及先故嗚咽泣下至老不衰詳在碑狀 

한필수(韓必壽) : 호인묵號忍默 유지행려묘삼년사림누청정려有至行廬墓三秊士林屢請旌閭 급부給復  

한계형(韓啓亨) : 가선지성사친수의박문수포嘉善至誠事親繡衣朴文秀褒 계급부啓給復  

한진(韓震) : 이효以孝 정려 旌閭 증찰방贈察訪  

한중유(韓仲愈) : 성효순독모최씨상병유암할고이진모병득소誠孝純篤母崔氏嘗病乳巖割股以進母病得甦  

한계유(韓季愈) : 중유제仲愈弟 역할고이진구득소오월亦割股以進灸得甦五月 조가포상朝家褒賞  

한치형(韓致亨) : 이효행누등포천以孝行屢登褒薦  

한치명(韓致明) : 이효입도신천以孝入道臣薦  

한동설(韓東卨) : 성지효친병단지性至孝親病斷指  

술(韓述) : 직장直長 이효以孝 정려사견삼강행실급여지승람旌閭事見三綱行實及與地勝覽  

한진태(韓震台) : 진사이효進士以孝 정려증호조좌랑旌閭贈戶曹佐郞  

한후유(韓後裕) : 돈령도정친병심독재목위문도명산청이신대기사절비조모유씨모심씨구향대질수침질공년기로사자재측敦寧都正親病甚篤齋沐爲文禱名山請以身代其辭絶悲祖母兪氏母沈氏俱享大數寢疾公年己老四子在側불청대로조석불잠리야와명퇴퇴불해대빈지침외잠후기식매문한성연후거혹치륭동백수성빙不聽代勞朝夕不暫離夜命退退不解帶頻至寢外潛侯氣息每聞聲然後去或値隆冬白鬚成氷  

한명석(韓命錫) : 이충효입도신천以忠孝入道臣薦  

한종언(韓宗彦) : 이효以孝 증지평贈持平  

한성유(韓聖維) : 친병혈지급상불승親病血指及喪不勝  

한형(韓泂) : 당모부인병단지진혈當母夫人病斷指進血  

한효우(韓孝友) : 집의이효執義以孝 문우조聞于朝  

한기종(韓箕宗) : 성지효부모병혁구단지득소급상삼년철죽려묘性至孝父母病革俱斷指得甦及喪三年啜粥廬墓 정묘정미수의포正廟丁未繡衣褒 계급부啓給復 

한은(垽) : 집의이효등대신천執義以孝登大臣薦  

한숙(韓淑) : 동지모병단지연수同知母病斷指延壽  

한재태(韓再泰) : 이효以孝 문부기가聞復其家  

한시우(韓時遇) : 성효가내실화모염직입묘봉신주부란이몰청포性孝家內失火冒炎直入廟奉神主膚爛而歿請褒  

한구(韓駒) : 친병단지상분親病斷指嘗糞 명정려命旌閭  

한충손(韓忠孫) : 주부이효主簿以孝 증군자정贈軍資正  

한후유(韓後兪) : 수지자이효壽之子以孝 증군자정 贈軍資正  

한사민(韓士敏) : 구증손친병단지회소駒曾孫親病斷指回甦  

한극검(韓克儉) : 후유자이효정려後兪子以孝旌閭  

한충언(韓忠彦) : 친병할지진혈親病割指進血  

한사영(韓士英) : 교관성효敎官誠孝 증작贈爵  

한문언(韓文彦) : 친병단지親病斷指  

한용화(韓用和) : 감사사친애경독지상어혼정후절청침문지외문한식이퇴급상년육십불탈최질일일천전시만힐가인화록무시監司事親愛敬篤至常於昏定後竊聽寢門之外聞息而退及喪年六十不脫縗絰一日薦奠時晩詰家人和綠無柴수불○소거지실오년거상불입내남상공철찬갈遂不所居之室五年居喪不入內南相公轍撰碣  

한제세(韓濟世) : 친병할지급상철죽親病割指及喪啜粥  

한성(韓鋮) : 효행순독친병상분단지회소유월다사청포孝行純篤親病嘗糞斷指回甦逾月多士請褒  

한사유(韓思愈) : 자중문,경엽자,봉곡기7대손,미호김원행문인,이학행8도신천,유효행사림청포字重文,景燁子,蓬谷琦7代孫,渼湖金元行門人,以學行8道臣薦,有孝行士林請褒  

한사민(韓師民) : 덕화자친병단지연수德華子親病斷指延壽  

한달(韓達) : 부모병구혈지득연시일급부父母病俱血指得延時日給復  

한석원(韓碩元) : 친병단지회소유월親病斷指回甦逾月  

한계주(韓繼周) : 친병단지회소親病斷指回甦  

한해점(韓海漸) : 성효연종단지열이복열수득소性孝吮腫斷指裂而復裂遂得甦  

한후명(韓厚明) : 절충친병단지折衝親病斷指  

한기량(韓起良) : 친병할지득연시월親病割指得延時月  

한징(韓澄) : 절충이효급부오결도두불수折衝以孝給復五結掉頭不受 특위급질特爲給秩  

한세창(韓世昌) : 참봉자휘세내간진례추복기부奉字諱世內艱盡禮追服其父  

한익문(韓翼文) : 현령사친지효縣令事親至孝 특제음관特除蔭官 영조신해英祖辛亥 정려旌閭  

한림(韓霖) : 무과이효武科以孝 정려旌閭  

한신호(韓浩) : 진사친방극연장도천득소이효입향천進士親方燃掌禱天得甦以孝入鄕薦  

한이함(韓以咸) : 림자우유지행霖子又有至行 특명포상特命褒賞  

한광복(韓光福) : 친병상분우유치이다사누정지우춘조親病嘗糞又有雉異多士累呈至于春曺  

한준발(韓駿發) : 규원자,헌납백후손,호취은,친병작지병자후자정規遠子,獻納伯厚孫,號醉隱,親病斫指丙子後自靖  

한광석(韓光錫) : 덕주자,생부덕순,서천군사문십대손,자백심,호유촌,친병상분이효입향천德周子,生父德淳,西川君斯文十代孫,字白心,號柳村,親病嘗糞以孝入鄕薦  

한중조(韓重朝) : 첨지,현령백기자,영흥공사개칠대손,자원규,호곡굉와,성지효지려행의기사후은거교수이성취인재가자급僉知,縣令伯箕子,永興公士介七代孫,字元揆,號曲肱窩,性至孝砥礪行義己巳後隱居敎授以成就人才加資及졸이효卒以孝 증이조참판贈吏曹  

한수기(韓壽箕) : 창우공여옥자,영흥공육대손,자일경,조고부득시탕위지통종신불근약이蒼愚公如玉子,永興公六代孫,字一卿,早孤不得侍湯爲至痛終身不近藥餌  

한익신(韓翼新) : 첨지,자문중,후유자,전랑명여손,영흥공사개십일대손,이조실호시위지통어급선고필류체년육십이추복외僉知,字文仲,厚維子,銓郞命輿孫,永興公士介十一代孫,以早失怙恃爲至痛語及先古必流涕年六十二追服外간조석궤전곡읍지애무이단괄시계묘즉모부인별세지주갑우공회혼지세야자손설근연이공애통실성부좌艱朝夕饋奠哭泣之哀無異袒括時癸卯卽母夫人別世之周甲又公回昏之歲也子孫設宴而公哀痛失聲不坐연석회객막불감탄기구십이모宴席會客莫不感歎其九十而慕  

한세기(韓世琦) : 이양공명진십대손,친병구약귀로재경취우전천범람방황호읍수위단류귀이전복즉효도신치계특명생시정夷襄公明十代孫,親病求藥歸路經驟雨前川泛濫彷徨號泣水爲斷流歸而煎服卽效道臣馳啓特命生時旌표졸후表卒後증공조참의贈工曹  

한세장(韓世璋) : 세기제,성효인도世琦弟,性孝因道 계급부啓給復  

한성시(韓聖時) : 정익자,영흥공사개팔대손,이효廷翊子,永興公士介八代孫,以孝 증지평 贈持平  

한동식(韓東軾) : 지량자,생부명량,호조참판계선십일대손,친병단지기처정씨역효사구고,사림배청정포志良子,生父命良,戶曹判繼善十一代孫,親病斷指其妻鄭氏亦孝事舅姑,士林拜請旌褒 

한희(韓僖) : 태용자,판사공제십삼대손,이효급부泰用子,判事公齊十三代孫,以孝給復  

한규(韓逵) : 자도원,인서자,참의공전십대손,전후상개단지계문급부字道源,麟瑞子,議公十代孫,前後喪皆斷指啓聞給復  

한기종(韓箕宗) : 자창운,적자,생부달,참의공십일대손,부모병개단지부자구입수字昌運,迪子,生父達,議公十一代孫,父母病皆斷指父子俱入繡 계명개기소거리위인량급부오십결啓命改其所居里爲仁良給復五十結  

한종길(韓宗吉) : 자군상,철화자,이양공명진십삼대손,년십삼친병단지字君祥,喆華子,夷襄公明十三代孫,年十三親病斷指  

한용순(韓用盾) : 경유자,호참공계선십삼대손,친병단지영읍포가景裕子,戶公繼善十三代孫,親病斷指營邑褒嘉  

한사직(韓思直) : 자화익,동훈자,고부공계복십일대손,친병비관감응거상정화불개사림누청포장字和益,東勳子,古阜公季復十一代孫,親病飛感應居喪庭花不開士林屢請褒奬  

한범기(韓範基) : 양절공구대손,유지행독효입도천襄節公九代孫,有至行篤孝入道薦  

한시회(韓時晦) : 처재령이씨찰방중선녀,이효부妻載寧李氏察訪重先女,以孝婦 문급부 聞給復  

한홍조(韓弘朝) : 자제경,호신곡,회헌공여해손,영흥공사개팔대손,지려행의성효근천친상철죽과소기불승상이몰字濟卿,號信谷,晦軒公如海孫,永興公士介八代孫,砥礪行義誠孝根天親喪啜粥過小期不勝喪而歿  

한태기(韓泰箕) : 동지同知자도백字道伯지평공필명손持平公必明孫석탄공효중증손石灘公孝仲曾孫영흥공사개칠대손永興公士介七代孫친병할수장진혈親病割手掌進血급상애훼유절及喪哀毁逾節  

한인보(韓仁保) : 만은晩隱기장자起章子호호운 號湖雲재친제상분사문齋親嘗糞事聞 증참봉유학행贈奉有學行 

 

學行錄(학행록)   top

 

한수(韓脩) : 1333.~1384.학문과 행의로 세상의 존경을 받았다(學問行義爲世所重). 익제 이제현, 목은 이색과 친하게 지냈는데(與益齋李齊賢牧隱李穡最善) 그들과 화답하였던 시집이 세상에서 유행하였다(酬唱詩集行于世善). 공은 문장에 능하였고 초서와 예서를 잘썻다(文章草隸). 목은 이색이 묘지문를 지었고(牧隱撰誌) 문순공 원진이 公이 지은 주경설의 발문을 지었다(文純公元震撰主敬說跋).

한계희(韓繼禧) : 1423.~1482.학문이 정박하고 식견이 고매 하였다(學問精博識見高邁).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여 도덕이 날로 진취되어(心突性理道德日就) 역학보해와 역학계몽에 밝았다(明於易學補解啓蒙시호는 문정(諡文靖)이고 사가(四佳)서거정(徐居正)이 신도비문을 지었다.(撰神道碑)  

한충(韓忠) : 字서경(恕卿),號송재(松齋),主簿 창유(昌愈)의 長子로, 정당문학(政堂文學) 공연(公衍)의 후손이다,경서와 사서에 박학하고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으며(博學經史沈潛性理) ,조정암,김충암과 결의형제를 맺었다(與趙靜菴金沖菴,結爲兄弟), 公의 유고가 있고(有遺稿) 월사 이정구가 행장을 지었다(月沙撰行狀)

.

한우신(韓禹臣) : 字하경(夏卿)참봉중해의 아들(參奉中海子) 明宗11年~仁祖7年(1556~1629嘉靖丙辰生~崇禎己巳卒) 세칭관서부자(世稱關西夫子) 율곡 이이(栗公,李珥)는 주자 학의 정통 을 이어 받았다고 하였고(以爲眞得考亭嫡傳),사계(沙溪)김장생은 말하기를 韓公의 예학은 세상의 표준이다(以爲韓公禮學爲世表準) 라고 하였으며,월사(月沙)이정구(李廷龜)는 말하기를 그 당시 대제학을 公이 맡지 않고 누가 맡겠는가(以爲當時文衡非韓公則誰)라고 하였으며, 서애(西崖)유성룡(柳成龍)은 公의 학문은 주자의심법이고(以爲公學問考亭心法經綸) 경륜은 관중,제갈양 재국(管葛才局)이다라 하였고 우계(牛溪)성혼(成渾)은 公의 기상이 비범하고(以爲氣像異凡) 도덕이 뛰어나니(道德絶倫) 우리들이 견줄바 아니다(非吾黨所可擬)라고 찬사(讚辭)가 줄을 이었다. 영조때 예조참판에 증직되었다(英廟朝贈禮)  

한윤명(韓胤明) : 字사형(士冏),號형암(庵) 이일재 문하에서 수업하였는데(學於李一齋) 타고난 자질이 수미하고 조예가 고명하였으므로(天資粹美造詣高明)추천을 받아 왕손사부가 되었다.(薦爲王孫師傅) 명종22년隆慶丁卯(1567)卒하니 율곡이 글을 지어 제사를 지냈다. (栗谷操文以祭之)  

한효윤(韓孝胤) : 字근숙(謹叔),號유음(柳陰),郡守 여필(汝弼)의 長子로1536년출생(中宗丙申生)하였다. 公은 경학을 연구하고 예절을 익히고(硏究經學習禮敎). 관혼상제를  정하였는데 이것이 가법이 되었다(冠婚喪祭多所酌定因成家法). 1580년(庚辰)卒, 서경 유근이 비문을 짓고(西坰柳根撰碑) 상촌 신흠이 묘지문을 지었다(象村申欽撰誌).

한백겸(韓百謙) : 자명길,호구암,유음장자,1556년출생,광해시퇴거양주,물이촌학문행의위세소중,1615년졸字鳴吉,號久菴,柳陰長子,明宗壬子生,光海時退居楊州,勿移村學問行誼爲世所重,光海7年乙卯卒  

한효상(韓효상) : 자경휴,호협소재,증이참천뢰3자문정공5대손,상재반중소변우계무을사졸,유유고,도암이재찬묘표칭선생字景休,號素齋,贈吏天賚3子文靖公5代孫,嘗在泮中疏卞牛溪誣乙巳卒,有遺稿,陶庵李縡撰墓表稱先生  

한필적(韓必迪) : 자적부,호청절,처사효삼계자,문정공6대손,1599.12.16.출생,품성청고학식초매,정묘로란호字迪夫,號淸節,處士孝參季子,文靖公6代孫,宣祖32年己亥生,稟性淸高學識超邁,丁卯虜亂扈 성강도병정聖江都丙丁이후결신종로우연기로팽정훈회자제인진후학상저서유후여언씨가훈여씨동몽훈以後潔身終老于燕岐老彭亭訓誨子弟引進後學嘗著書遺後如顔氏家訓呂氏童蒙訓 1677.10.12.졸,肅宗3년丁巳卒,수암遂菴권선생저시첩발증손원진찬유사權先生著詩帖跋曾孫元震撰遺事  

한여해(韓如海) : 자호호,호회헌,전첨필후자,문정공7대손,1607.11.22.출생,돌적성리연구경사학추주정의동이제병자후字浩浩,號晦軒,典籤必厚子,文靖公7代孫,宣祖40年丁未生,突○性理硏究經史學追朱程義同夷齊丙子後은거자청불취隱居自靖不就 제명除命 1693.1.5.졸肅宗19年癸酉졸.이학행절의,증아경,수암권상하찬갈,사림루소청원향以學行節義,贈亞卿,遂菴權尙夏撰碣,士林屢疏請院享  

한여옥(韓如玉) : 자자강,호창우,군수휘필구차자,1636년출생,字子剛,號蒼愚,郡守諱必久次子,仁祖14년丙子生,우암송선생문인,학식엄박행의순독,1685년졸尤庵宋先生門人,學識淹博行誼純篤,肅宗11年乙丑卒수암권선생찬갈,족손문순공원진찬장遂庵權先生撰碣,族孫文純公元震撰狀  

한협(韓協) : 호죽정,유존자,참의휘전5대손,1588년생,號竹亭,惟存子,議諱5代孫,宣祖21年戊子生,전심경학천위대군사전광해정란은거강진호남사우이專心經學薦爲大君師傳光海政亂隱居康津湖南士友以군자명기소거지금유전운君子名其所居至今遺傳云  

한백유(韓伯愈) : 자퇴여,호오천,선자,1675년출생,字退如,號鰲川,璿子,肅宗元年乙卯生,1742년졸,英祖18年壬戌卒,유학행,유문집행우세사림입향사이향지有學行,有文集行于世士林立鄕社以享之  

한인기(韓仁箕) : 자덕중,태일장자,을축생,신미졸,유학행향인입용엄사이향지字德重,台一長子,乙丑生,辛未卒,有學行鄕人立龍巖祠以享之

한은() : 자중징,호만은,병조참판휘형길자,문정공6대손,1619.2.14.생~1688.6.1.졸,字仲徵,號漫隱,兵曹參判諱亨吉子,文靖公6代孫,光海11年己未生~肅宗14年戊辰卒,누징불사,증이조참의屢徵不仕,贈吏曹參議  

한적(韓適) : 자달부,언윤자,문양공5대손,1552.7.26출생,字達夫,彦胤子,文襄公5代孫,明宗7年壬子生,학식고매,증집의.1612.10.12.졸學識高邁,贈執義.光海君4年壬子卒  

한세엽(韓世燁) : 자여수,1652년출생,字汝粹,孝宗3年壬辰生,1699년졸肅宗25年己卯卒,유학행,사림건사조두有學行,士林建祠俎豆  

한익문(韓翼文) : 후유자,이학문제현령後愈子,以學問除縣令  

한산두(韓山斗) : 자사첨,호추월당,진사휘일취자,충간공휘리후,학문행의사표일세,정유왜란창의어창령현화왕산이척화字士瞻,號秋月堂,進士諱日就子,忠簡公諱理後,學問行誼師表一世,丁酉倭亂倡義於昌寧縣火旺山以斥和수사상만언소,문집일권행우세풍기유노계서원守死上萬言疏,文集一卷行于世豊基有魯溪書院  

한여기(韓如琦) : 자백규,호정일재,군수휘필진자,1630년출생,字伯圭,號精一齋,郡守諱必震子,仁祖8년庚午生,유신독재김선생휘집지문,우암동춘함애중,1709년졸,遊愼獨齋金先生諱集之門,尤庵同春咸愛重,肅宗35年己丑卒,이효,정려以孝,旌閭  

한일휴(韓日休) : 자경일,호월포,부사휘기차자,1592년字敬逸,號月浦,府使諱琦次子,宣廟壬辰이진사장검지용만향,상기거익계구퇴불수귀회덕여현인수횡사以進士杖劒至龍灣向,上起居翌季寇退拂袖歸懷德與縣人修舍두향속향인추이위산장,1614년졸,紏鄕俗鄕人推以爲山長,光海君6年甲寅卒,우암송선생술묘표尤庵宋先生述墓表  

한대진(韓大震) : 자창경,형조좌랑휘성기차자,백탄휘여익손,1672년출생,字昌卿,刑曹佐郞諱聖箕次子,白灘諱如益孫,顯宗13년壬子生,천자중후학식엄관상,수업어수암권선생지天資重厚學識淹貫嘗,受業於遂菴權先生之문경례의의다소질문유유고,1724년졸,門經禮疑義多所質問有遺稿,景宗4年甲辰卒,담곡송주상찬행장潭谷宋周相撰行狀  

한성우(韓聖佑) : 자여윤,목사휘수원자,좌의정청평부원군응인증손,1633.4.1.출생,字汝尹,牧使諱壽遠子,左議政淸平府院君應寅曾孫,仁祖11년癸酉生,우암송선생문인,총류단아문재매등尤庵宋先生門人,聰類端雅文才邁等1669사마1674사화솔누백사변우암무,1684괴반제관지이조참판용력어주자서완색침관불용불책위일생己酉司馬甲寅士禍率累百士辨尤庵誣,甲子魁泮製官至吏曹參判用力於朱子書玩索沈灌不用不措爲一生체험,1710.11.13.졸,體驗,肅宗36年庚寅卒,수암권선생찬신도비,삼연김창흡찬묘표,도암이재찬묘지遂菴權先生撰神道碑,三淵金昌翕撰墓表,陶庵李縡撰墓誌  

한원진(韓元震) : 자덕소,호남당,근수당유기차자,백탄여익손,1682.9.13.출생,임오배권선생어황강선생증시왈묘세고재字德昭,號南塘,勤修堂有箕次子,白灘如益孫,肅宗8年壬戌생,壬午拜權先生於黃江先生贈詩曰妙歲高才학공주설경정박사군무신근방아어초사하행잔연덕불고도신수의교천학행,정유시사관집의상겸,경연관學孔朱說經精博似君無辛勤訪我漁樵社何幸殘年德不孤道臣繡衣交薦學行,丁酉始仕官執義常兼,經筵官1751.2.8.졸,英祖28年辛未卒,문집19권,습유3권,기문록3권,주서동이고2권,의례보10권행우세,정묘기미,증이조판서,文集19卷,拾遺3卷,記聞錄3卷,朱書同異攷2卷,儀禮補10卷行于世,正廟己未,贈吏曹判書,순조임술,사시문순,병계문경공윤봉구찬행장,산수헌자의권진응돌갈純祖壬戌,賜諡文純,屛溪文敬公尹鳳九撰行狀,山水軒諮議權震應突碣  

한사영(韓사영) : 자군언,호불온,재설사준4남,월포일휴손,1721년생?,字君彦,號不慍,齋雪蓑峻4男,月浦日休孫,景宗辛丑生,성효순독학식고매출입우암동춘양선정문상저가훈誠孝純篤學識高邁出入尤庵同春兩先正門嘗著家訓봉질우우옹우옹저발이귀지,1699졸,奉質于尤翁尤翁著跋以歸之,肅宗己卯卒,제월당송규렴작뢰이곡霽月堂宋奎濂作以哭  

한계진(韓啓震) : 자계명,호묵수재,남당제,연구경례돌적성리다소발명어정미지온이조년대천성망애울격군리민개자학문字季明,號默修齋,南塘弟,硏究經禮○○性理多所發明於精微之蘊而早年大闡聲望鬱格君理民皆自學問중발출이제가식불황사석막시시이명칩조저적환산림관호조참의병계윤공찬갈中發出而第家食不遑師席莫侍是以名○朝著跡○山林官戶曹參議屛溪尹公撰碣  

한위(韓㙔=土韋) : 자여중,교관정칙차자,문양공계미7대손,1640.12.29.출생,중생원학행고매의리엄정여김몽와삼연농암제공字汝重,敎官正則次子,文襄公繼美7代孫,仁祖18年庚辰生,中生員學行高邁義理嚴正與金夢窩三淵農巖諸公우선소척시배사림추중友善疏斥時輩士林推重  

한준(韓) : 자여관,사과이칙자,생부정칙,생원위제,조중생원학식초윤행의독실여중씨위교유사적상동몰후농엄김공字汝寬,司果彛則子,生父正則,生員○弟,早中生員學識超倫行義篤實與仲氏○交遊事蹟相同歿後農巖金公만시왈중이매칭군장자운당세사우함추중언挽詩曰衆裏每稱君長者云當世士友咸推重焉  

한명유(韓鳴愈) : 자문팔,사림이학행제우사字文八,士林以學行祭于社  

한후수(韓後遂) : 자중량,호명호,태진차자,1701년출생,字仲良,號明湖,泰震次子,肅宗27年辛巳生,병계문인문사부섬학식고명,1779년졸,屛溪門人文詞富贍學識高明,正祖3年己亥卒,문인곽기제찬행장,門人郭旣濟撰行狀,영상홍석주찬문집서.領相洪奭周撰文集序.  

한사유(韓思愈) : 자중문,경엽자,봉곡기7대손,미호김공원행문인,이학행8도신천字重文,景燁子,蓬谷琦7代孫,渼湖金公元行門人,以學行8道臣薦  

한치명(韓致明) : 자일승,태장3남,경신생원이문8도신천字日昇,泰章3男,庚申生員以文8道臣薦  

한세장(韓世張) : 자대경,생원준자,문양공8대손,1686년출생,字大卿,生員子,文襄公8代孫,肅宗12년丙寅生,중생원,문학행의견추사우,1750년졸中生員,文學行誼見推士友,英祖26年庚午卒  

한성보(韓聖輔) : 자여석,경신생,음가선경주부윤청원군,목사수원자,우상충정공응인증손,학우암송선생문,돌적성리학식字汝碩,庚申生,蔭嘉善慶州府尹淸原君,牧使壽遠子,右相忠靖公應寅曾孫,學尤庵宋先生門,○○性理學識고,만언의준정소변송선생무사엄의정高,萬言議峻正疏卞宋先生誣辭嚴義正  

한엽(韓曄) : 득인자,문간공9대손,돌적경전,1669年퇴은우예산암하리교수후생비변향속빈빈유안정호중지풍이수관得仁子,文簡公9代孫,○○經傳,崇禎己酉退隱于禮山巖下里敎授後生丕變鄕俗彬彬有安定湖中之風以壽官첨추僉樞  

한홍조(韓弘祚) : 자영숙,호연재우호봉계,윤원자,엽손,학어수암권선생문조예심고여남당병계제현선후지세칭8현字永叔,號捐齋又號鳳溪,允元子,曄孫,學於遂菴權先生門造詣甚高與南塘屛溪諸賢先後之世稱8賢  

한홍제(韓弘濟) : 자자명,호소포당,공지고조여익이우찬성문정공계희증손대사간승정자,계위음참판계선손주부안명지자字子明,號素圃堂,公之高祖汝益以右贊成文靖公繼禧曾孫大司諫承貞子,系爲蔭參判繼善孫主簿安命之子돌적경전정투온오이지천문지리음양의약병고무불통,기대지승상대천차제조취미방방이졸추,증정자,○○經典精透蘊奧以至天文地理陰陽醫藥兵陣無不通,其大旨陞庠大闡次第早取未放榜而卒追,贈正字,용인이익찬갈龍仁李瀷撰碣  

한처정(韓處定) : 의원자,생부의립,천령공계윤6대손,자대재,호함광처사,학행고매.경륜발취상재존주휘편송자대전義元子,生父義立,川寧公繼胤6代孫,字大哉,號含光處士,學行高邁.經綸拔萃詳在尊周彙編宋子大全  

한여두(韓如斗) : 자자앙,호독성옹,참판필원자,생부필후,영흥공사개현손,학식고명,유집장가,관지현감字子仰,號獨醒翁,參判必遠子,生父必厚,永興公士介玄孫,學識高明,有集藏家,官至縣監  

한백기(韓伯箕) : 자향오,호복천,여두자,우암문인,학행탁월,관지현령字鄕五,號復川,如斗子,尤庵門人,學行卓越,官至縣令  

한중조(韓重朝) : 자원규,호곡굉와,현령백기자,은거교수이성취인재,가자첨지급졸이효학,증이조참판字元揆,號曲肱窩,縣令伯箕子,隱居敎授以成就人才,加資僉知及卒以孝學,贈吏曹參判 

한경양(韓敬養) : 자사용,호삼과당,봉사명현자,현령중조손,도암문인,학식고명字士涌,號三過堂,奉事命玄子,縣令重朝孫,陶菴門人,學識高明  

한영기(韓永箕) : 자영숙,호상강,군수여우자,참판필원손,이학천염字永叔,號橡岡,郡守如愚子,參判必遠孫,以學薦剡  

한건(韓鍵) : 자중고,생원세장자,생부세기,문양공9대손,학행저우세字仲固,生員世張子,生父世箕,文襄公9代孫,學行著于世  

한명직(韓命稷) : 자군필,건자,언행문식위세소추字君弼,鍵子,言行文識爲世所推  

한원기(韓遠箕) : 자자현,호남애,회헌공여해3자은거강학저4언원류字子玄,號南涯,晦軒公如海3子隱居講學著4言源流  

한지유(韓持維) : 자치국,명직자,회헌공증손,학식고매,유집장가字穉國,命直子,晦軒公曾孫,學識高邁,有集藏家  

한명상(韓命常) : 자군오,인조자,영흥공8대손,학식정토,여성담송환기,과재김두묵,상추중字君五,寅朝子,永興公8代孫,學識精透,與性潭宋煥箕,過齋金斗默,相推重  

한채세(韓采世) : 자유량,호죽포,후렴자,영흥공9대손,유문학8염천字有亮,號竹圃,後濂子,永興公9代孫,有文學8剡薦  

한여기(韓如琦) : 자백규,호정일당,필진자,영흥공5대손,음직장,학신재문문행저세字白圭,號精一堂,必震子,永興公5代孫,蔭直長,學愼齋門文行著世  

한정익(韓廷翊) : 자중범,여기자,생부여회,학우암문字仲範,如琦子,生父如晦,學尤庵門  

한취업(韓就業) : 자취지,원자,호참곤계선6대손,유사계문념정유행의字就之,瑗子,戶參公繼善6代孫,遊沙溪門恬靜有行義  

한채익(韓采翼) : 일위자,호참공7대손,유동춘문유행의一衛子,戶參公7代孫,遊同春門有行義  

한재화(韓載華) : 자성숙,증승지기자,고부공계복9대손,효우근천학행고매,증대사헌청원군字聖叔,贈承旨耆子,古阜公季復9代孫,孝友根天學行高邁,贈大司憲淸原君  

한응룡(韓應龍) : 상백자,호참공계선5대손,자운서,호기은,천성고결,은어광주기산하,일여사우토론성리유종일건건지상시相伯子,戶參公繼善5代孫,字雲瑞,號箕隱,天性高潔,隱於廣州箕山下,日與士友討論性理有終日乾乾之象時인인명기소거지동왈건건리人因名其所居之洞曰乾乾里  

한상계(韓相啓) : 자옥경,영발자,호동호잠인,사황후천종해궁가효양잠심력학유유승일편字沃卿,英發子,號東湖散人,師黃朽淺宗海躬稼孝養潛心力學有遺乘一編  

한백휴(韓百休) : 자언보,홍경자,상계손,호락삼와,사성호이익,전정성리향인천왈서천화벌대록교초유유고2편字彦甫,弘慶子,相啓孫,號樂三窩,師星湖李瀷,專情性理鄕人薦曰西川華閥大麓翹楚有遺稿2編  

한상익(韓相翊) : 자익지,준발자,동명정두경찬유고발字翊之,駿發子,東溟鄭斗卿撰遺稿跋  

한명여(韓命輿) : 영흥공9대손,회헌여해증손,자치수,호천관재,학식의위세소중,등과입춘방시강경사부주온오진선납회永興公9代孫,晦軒如海曾孫,字致,號川觀齋,學識誼爲世所重,登科入春防侍講經史敷奏蘊奧陳善納誨비보홍다裨補弘多  

한건유(韓健維) : 명여자,자도이,기제후유,효학매등사림치소청포命輿子,字道而,其弟厚維,孝學邁等士林治疏請褒  

한상신(韓商新) : 건유자,자덕여,연구걍전돌적성리다소발명어정미지온도려문장조년대천성망애울토사교형정도격군심론健維子,子德汝,硏究經傳○○性理多所發明於精微之蘊蹈文章早年大闡聲望蔚討邪敎衛正道格君心論시무개자학문중출래수지36이졸시론막불차석時務皆自學問中出來壽止36而卒時論莫不嗟惜  

한위(韓瑋) : 영흥공사개현손,학행초윤,광해폐모상소극간적해남永興公士介玄孫,學行超倫,光海廢母上疏極諫謫海南  

한영서(韓寧瑞) : 호참공계선현손,호침해헌,음주부,효학고매,여사계김선생도의추중戶參公繼善玄孫,號枕海軒,蔭主簿,孝學高邁,與沙溪金先生道義推重  

한기장(韓起章) : 침해헌영서자,호만은,학고행독,삼백당자의이공상승찬행장왈조중란봉초중지란불비자현불분자향枕海軒寧瑞子,號晩隱,學高行篤,三栢堂諮議李公常承撰行狀曰鳥中鸞鳳草中芝蘭不飛自顯不焚自香

한훈(韓訓) : 자사고,청백리충인자,려학문상기절,성종갑인문괴즉입영권계우방륭미기,상승하연산조정해권간인이위字師古,淸白吏忠仁子,學問常氣節,成宗甲寅文魁卽入瀛圈契遇方隆未幾,上昇遐燕山朝廷劾權奸人以爲조정유한모일인,무오제현망정공피화후,증도승지朝廷有韓某一人,戊午諸賢網打公被禍後,贈都承旨  

한수기(韓壽琦) : 자여규,죽정협자,참판붕현손,독학문려행의,우장어부책저우시字汝圭,竹亭協子,參判鵬玄孫,篤學問行義,尤長於賦策著于時 (구이자두제입록제손쟁지개록)(舊以子斗齊入錄諸孫爭之改錄)  

한범제(韓范齊) : 자일지,치량자,관헌납조사학문,기사사화작피적사천,갑술방환字一之,致良子,官獻納早事學問,己巳士禍作被謫泗川,甲戌放還  

한택규(韓택규) : 자계안,부제자,신축이의직상소중변몽와제공일변함지임인피윤대영지,계字季安,富齊子,辛丑以衣直上疏仲辨夢窩諸公一邊啣之壬寅被尹大榮之,啓  

한정규(韓鼎揆) : 자수보,괴진사두제자,죽정협증손,문학언행위사우추字受甫,魁進士斗齊子,竹亭協曾孫,文學言行爲士友推  

한유모(韓有謨) : 자덕양,효신자,참판붕9대손,구적성리체험독행字德陽,孝新子,參判鵬9代孫,究○性理體驗篤行  

한정로(韓廷老) : 영흥공사개5대손,여회자,유도암문지려행의학유묵계永興公士介5代孫,如晦子,遊陶菴門砥礪行義學有默契  

한사조(韓師朝) : 영흥공6대손,협소재효상증손,정로자,유김후문이학천,수참봉불사,몽와적행출전우교피적옥천永興公6代孫,素齋孝祥曾孫,廷老子,遊金厚門以學薦,授參奉不仕,夢窩謫行出餞于郊被謫沃川

    top